개인 금융 및 투자 전략

군 복무 기간 국민연금 추가 납입, 해야 할까?

호코파파. 2025. 4. 6. 10:43

군 복무 기간 국민연금 추가 납입, 해야 할까?

군 복무를 한 사람이라면 국민연금에 추가 납입하여 가입 기간을 인정받을 수 있습니다. 하지만 이를 위해 적지 않은 금액을 한꺼번에 납부해야 하므로 고민이 될 수밖에 없습니다. 과연 군 복무 기간에 대한 국민연금 추가 납입이 유리한 선택일까요? 예시를 들어 구체적으로 살펴보겠습니다.

군 복무 기간 국민연금 추가 납입, 해야 할까?

1. 군 복무 기간 국민연금 추가 납입이란?

국민연금은 근로 소득이 있을 때만 납부하는 것이 원칙입니다. 하지만 군 복무 기간(최대 6년)을 국민연금 가입 기간으로 인정받을 수 있도록 ‘추후납부’ 제도가 운영되고 있습니다. 이를 통해 군 복무 기간을 연금 가입 기간으로 포함할 수 있습니다.

추후납부를 하면 가입 기간이 늘어나 연금 수령액이 증가하는 효과가 있습니다. 하지만 목돈(수백만 원 이상)을 한꺼번에 납부해야 하기 때문에 신중한 판단이 필요합니다.

2. 군 복무 연금 추가 납입 예시

예시 1) 46세 대기업 부장의 경우

군 복무 기간: 27개월 (2년 3개월)

현재 월 소득: 800만 원

총 추가 납입액: 약 1,400만 원

연금 수령액 증가 예상: 월 약 10~15만 원


이 경우, 1,400만 원을 추가 납입하면 은퇴 후 매월 10~15만 원을 더 받을 수 있습니다. 10년 정도 연금을 수령하면 원금을 회수할 수 있고, 이후에는 순이익이 됩니다. 평균 기대 수명을 고려하면 매우 유리한 선택이 될 가능성이 큽니다.

예시 2) 35세 중소기업 직장인의 경우

군 복무 기간: 24개월 (2년)

현재 월 소득: 400만 원

총 추가 납입액: 약 800만 원

연금 수령액 증가 예상: 월 약 7~10만 원


이 경우도 유사한 계산법이 적용됩니다. 다만 35세이므로 아직 시간이 많아 국민연금 외에도 퇴직연금이나 개인연금을 활용할 여지가 큽니다. 따라서 현재 재정 상황에 따라 추가 납입을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.

3. 군 복무 연금 추가 납입의 장단점

✅ 장점

연금 수령액 증가: 가입 기간이 늘어나므로 노후 연금이 늘어남

세액 공제 혜택: 국민연금 납입액은 연말정산 시 세액공제 가능

유리한 투자 효과: 10년 이상 연금 수령 시 원금 회수 후 추가 이익 발생 가능


❌ 단점

목돈 부담: 한 번에 수백~수천만 원을 납부해야 함

재정 상황 고려 필요: 단기적으로 현금 흐름이 부족하다면 부담될 수 있음


4. 결론: 군 복무 연금 추가 납입, 해야 할까?

군 복무 기간을 연금 가입 기간으로 인정받는 것은 장기적으로 보면 유리한 선택입니다. 특히 소득이 높고 연금을 많이 받을 가능성이 있는 경우 추가 납입이 추천됩니다. 하지만 목돈 부담이 크다면 분할 납부(최대 60개월 가능) 를 활용하는 것도 방법입니다.

따라서 개인의 재정 상태를 고려하여 신중하게 결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 국민연금공단 상담을 받아 본인의 상황에 맞는 최적의 선택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.